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성비 원인, 피해, 대처

by o꿀달달o 2024. 3. 15.

산성비

산성비는 주로 대기 중에 방출된 이산화황이나 질소산화물을 포함한 물질들이 비와 반응하여 만들어진 황산과 질산 등의 산성 성분을 포함한 DH5.6 이하의 비입니다. 산성비는 주로 대기 오염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데 자동차, 공장에서 사용되는 화석연료. 전력발전소 등이 원인이 되어 산성비가 생성됩니다. 이러한 산성비는 토양 및 수질은 산성화시켜 다양한 피해를 입히고 사람들에게도 그러한 피해가 발생합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산성비의 원인, 영향 그리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산성비의 원인

산성비는 사람들이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대기오염으로 인해 주로 발생합니다. 가장 큰 원인은 화석연료의 연소입니다. 화석연료는 우리의 삶 깊숙이 들어와 있는데 대표적으로 자동차, 발전소, 공장 등에서 활용됩니다. 이러한 화석연료에는 황과 질소가 포함되어 있는 화합물들이 다량으로 들어가 있는데 이런 물질들이 산소를 만나 연소하게 되면 이산화황, 이산화질소등의 화학물질이 대기 중으로 방출됩니다. 또한 다양한 산업에서는 질소와 황을 이용해 공장을 운영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화학물질을 다루는 화학공장, 금속 가공 공장, 반도체 관련 공장, 종이를 만드는 공장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공장들은 다양한 화학물질을 활용하여 공장에서 생산하는 물품들의 질을 올리고 제작하는데 이런 과정에서 다양한 화학물질이 방출됩니다. 이외에도 농업 분야에서 화학비료를 사용하고 농약을 뿌리는 과정에서 대기 중에 화학물질이 방출될 수 있습니다. 특히, 화학비료와 농약에는 식물의 생장을 돕기 위해 다수의 질산이 포함되어있는데 이런 질산이 바로 산성비의 원인이 됩니다. 자연적으로도 산성비가 발생할 수 있는데 화산폭발이나 자연적으로 발생한 산성물질이 비에 포함되면 이러한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 인간의 영향으로 산성비가 발생합니다.

산성비의 영향

산성비는 환경과 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먼저 산성비는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됩니다. 강에 직접적으로 떨어지기도 하지만 지표에 떨어진 산성비는 강으로 흘러 들어가며 지표면에 있는 물질들을 산화시켜 포함한 다음 강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물의 pH도 낮아지고 여러 오염물질이 강에 흘러 들어가 오염이 일어나게 됩니다. 토양 또한 산성화 되는데 농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게 됩니다. 이는 흙에는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영양소들이 있는데 이를 파괴하면서 일어나는 일인데 영양소가 없는 흙으로 인해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게 되어 농업에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식물이 산성비에 노출될 경우 뿌리의 흡수도 저해받게 되고 잎에 여러 필요 화학물질을 산화시켜 파괴하여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게 됩니다. 이런 과정에서 수생식물들과 육지에 있는 동물들이 영향을 받아 생태계 전반에 연쇄적인 작용을 일으켜 생태계를 변화시킬 수도 있게 됩니다. 또한 인간에게도 영향을 끼치는데, 건물들과 구조물은 대리석과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분들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도 한데 이는 산성비를 그대로 맞게 되어 부식될 수 있습니다. 건물과 다리의 손상은 큰 인명피해를 일으킬 수 있으며 자동차 가 산성비에 노출될 경우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산성비는 토양의 여러 성분을 산화시켜 분진들의 성질을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물질로 변화시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산성비 해결방안

그렇다면 ‘우리는 이러한 산성비를 해결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드실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당장 한번에 해결하기는 어렵지만 지속적 노력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방면으로 노력을 해야 하는데 그 중 첫번째로 대기오염을 관리해야 합니다.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화석연료의 연소가 일어나는 발전소, 공장, 자동차 등에 대해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을 만들거나 배출기준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 화석연료를 대신하여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고 산업공정 내에서 더 효율적으로 화학물질을 사용해 그 양을 줄여 배출되는 양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 수질과 토양의 산성화 정도를 일정 간격으로 모니터링하여 심한 지역은 중화제를 사용하여 복구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다방면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원인 물질은 외국에서 날아올 수 있기에 국제적으로 협약 등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관리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렇듯 한번 오염이 시작된 것은 다시 복구시키기까지 많은 힘이 들어가기에 미연에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